정부가 고교서열화 해소를 위해 오는 2025년부터 자사고와 외고·국제고를 일반고로 전환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일반고 전환 이전에 풀어야 할 과제도 많고, 현실화 여부도 지켜봐야 하는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교육계의 반응도 엇갈리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정부가 어제 발표한 고교서열화 해소 방안에 대해 취재기자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. 권오진 기자! <br /> <br />고교서열화 해소 방안으로 정부가 자사고와 외고, 국제고의 일반고 일괄 전환 방침을 내놨는데요, 배경은 무엇입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고등학교가 일류와 이류로 서열화돼 사교육비 부담이 커지고 위화감 조성 등의 문제가 발생한 데는 자사고와 외고 국제고의 역할이 컸다고 정부가 판단한 겁니다. <br /> <br />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이들 학교가 애초 설립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입시교육에 치우쳐 대다수 학생이 다니는 일반고 교육을 저해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유 부총리의 말 들어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[유은혜 /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: (전체 고교의)약 4%를 차지하는 외국어고, 자율형사립고, 국제고 등에서 우수한 학생들을 먼저 선점하고 비싼 학비와 교육비가 소요되다 보니 현재 고등학교는 사실상 일류-이류로 서열화되고…] <br /> <br />자사고, 외고, 국제고의 일반고 전환은 현재 초등학교 4학년생부터 적용이 되는데요. <br /> <br />전환 이전에 입학한 학생의 신분은 졸업 때까지 유지되고 학교 명칭과 특성화된 교육과정은 그대로 운영됩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또 전국 단위로 학생을 선발하는 일반고 49곳의 모집 특례도 없애고, 과학고와 영재학교는 현행대로 가되 선발 방식은 개선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자사고와 외고를 폐지하는 대신 5년간 2조 2천억 원을 투입해 일반고의 역량을 강화해 교육 불평등도 해소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부총리가 단장을 맡는 가칭 '고교교육 혁신 추진단'을 운영하고 모든 학생에 대한 맞춤형 교육 여건을 조성한 뒤 고교학점제를 시행할 방침입니다. <br /> <br />유 부총리는 2025년 고교학점제의 본격 시행을 위해 교육과정의 개정뿐만 아니라 대입제도 개편 논의도 착수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 발표장에는 서울과 경기, 인천 등 수도권과 광주·세종시 교육감이 참석해 정부의 고교서열화 해소 방안에 힘을 보태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자사고와 외고의 일반고 전환을 앞두고 풀어야 할 과제도 적지 않다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우선 내년부터 2025년 3월까지는 자사고,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191108110120646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